728x90
매달 통장을 보면,
"도대체 어디에 이렇게 돈을 쓴 거지?"
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.
이번 편에서는 자동이체 루틴 + 소비 습관 설계 + 고정비 절감을 통해
월급의 최소 30%를 저축하는 구조 만들기에 대해 다룹니다.
Step 1. 급여일 다음 날 ‘자동이체 루틴’ 만들기
월급 받자마자 돈이 흩어지기 전에!
자동으로 저축·예금·비상금 통장으로 분배하는 습관을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.
항목 추천 | 비율 | 예시금액(월 300만원 기준) |
✔ 고정비 통장 (월세/공과금 등) | 40~50% | 약 120~150만 원 |
✔ 소비/생활비 통장 (체크카드 연결) | 30~35% | 약 90~105만 원 |
✔ 저축/투자 통장 (정기적금, 예금 등) | 30% 이상 | 90만 원 이상 |
📌 팁
- ‘월급통장’은 고정비 전용으로 지정
- 저축용은 따로 만들어 자동이체로 이동
- CMA or 파킹통장에 남은 생활비 이체해서 잔돈도 이자 받기
Step 2. 소비 요일 지정 + ‘노지출 데이’ 실천하기
돈이 새는 날은 대부분 계획 없는 소비에서 나옵니다.
요일별로 소비 루틴을 정하면 습관을 제어하기 쉬워요.
- 예시 루틴
- 월~목: 노지출 데이 (도시락 싸기, 커피 마시지 않기 등)
- 금요일: 식비 허용일 (외식 or 배달 1회)
- 토/일: 장보기 & 가족·연인과 소셜 소비
📌 팁
- ‘노지출 달력 앱’ 사용 → 습관화 효과 상승
- 성공한 날마다 스티커 붙이는 방식도 효과적
Step 3. 고정비 절감 체크리스트
고정비는 한 번만 손봐도 매달 자동으로 절약됩니다.
다음 항목을 분기별로 점검해보세요.
✅ 주거비
- 전세 대출 이자율 비교하기 (신규 vs 기존)
- 월세일 경우 공공기관 보증금 지원 제도 체크
✅ 통신비
- 알뜰폰 전환 여부 확인 (월 3~4만 원 → 1만 원대 가능)
- 가족 결합 할인, 카드 통신비 할인 챙기기
✅ 보험료
- 불필요한 중복 보장 정리
- 갱신형 vs 비갱신형 확인
✅ 구독서비스
- OTT, 음악, 유료 앱 점검 → 사용 안 하면 즉시 해지
- 카드 내역에서 자동이체 항목 추적
💡 마무리 정리
- 월급 루틴만 잘 만들어도 30% 이상 저축 가능
- 자동화 + 습관화 + 고정비 최적화 → 실질적 자산 증가
- 돈이 새는 구조를 바꾸는 게, 모으는 것보다 먼저!
📌다음 편에서는
‘돈이 새는 지출’을 어떻게 잡을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직장인 1억 모으기] 4편-소비습관 리셋! 돈이 새는 지출 잡는 5가지 체크포인트 (0) | 2025.04.23 |
---|---|
[직장인 1억 모으기] 2편 – 적금만으론 부족하다? 재테크 초보를 위한 금융상품 종류 (0) | 2025.04.21 |
[직장인 1억 모으기]1편. 현실적인 시작은 ‘이것’부터 (0) | 2025.04.18 |
신한카드 17만원 캐시백 이벤트(2025년 4월) (1) | 2025.04.15 |
2025년 부동산 시장, 직장인 내집마련 언제가 적기일까? (0) | 2025.03.08 |